부동산뉴스

‘지지부진’ 시민공원 촉진3·4구역, ‘특별건축구역’ 지정 속도

공인중개사 도시어부 2020. 7. 1. 15:28

부산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지구 3·4구역을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절차가 속도를 낸다. '공공성' 논란으로 2년 넘게 지지부진하던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 사업들도 4월 변경 고시 이후 이달부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부산시와 부산진구청에 따르면 부산시민공원 재정비촉진3구역 조합은 지난달 26일 특별건축구역을 지정하기 위한 심의를 신청했다.

부산시는 앞서 4월 15일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지구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해 구역 면적과 건폐율·용적률·높이 등에 대한 계획을 다시 고시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부산시가 공개한 시민공원 재정비촉진지구 합의안(부산일보 지난해 10월 18일 자 1면 보도)에 맞춰 후속 절차를 밟은 것이다.

 

조합, 부산시에 지정 심의 신청

건폐율·높이 등 건축규제 완화

창의성 높은 복합단지 조성 기대

 

 

부산시는 이미 지난해 합의안 발표 때 양정현대아파트 쪽 3·4구역을 특별건축구역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평지, 구릉 등 다양한 자연지형을 살리기 위함이다.

3구역은 지난해 11월 30일, 4구역은 5월 29일 조합원 총회에서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3구역 최금성 조합장은 “특별건축구역 심의가 한 달 정도 걸릴 텐데, 그 전에 경관·교통영향평가 심의도 신청해 사업을 신속히 진행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4구역 하병우 조합장은 “부산시의 직권 지정을 기다렸는데 오거돈 시장이 불미스럽게 물러나는 바람에 여의치 않아 조합에서 직접 준비 중”이라면서 “늦어도 이달 안에 신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별건축구역은 건폐율, 건축물 높이, 일조권 등 건축규제를 배제, 완화하거나 통합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유로운 건축 설계가 반영된 창의성 높은 복합단지 조성이나 지역 랜드마크 건설이 촉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재정비촉진사업을 통해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기는 부산에서는 처음이다. 부산시 손인상 도시정비과장은 “시민자문, 공동건축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쳐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기는 부산에서 처음”이라며 “부산시가 의지를 갖고 있고, 그에 맞춰 고시를 했기 때문에 지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4월 고시를 통해 촉진3구역(17만 8634㎡) 동수는 13개에서 15개로, 용적률은 299%에서 309%로 늘었다.

층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스카이라인을 살리기 위해서다. 또 1층을 기둥으로만 구성하는 필로티 등을 통해 지형을 살리려고 한다. 최고층수는 60층, 평균층수는 27층이다.

아파트는 판상형과 탑상형, 혼합형으로 다양하게 구성한다. 시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단지 중간으로 공중보행교가 신설되고, 송상현광장으로 연결되는 공공보행통로도 신설된다.

촉진4구역(3만 9459㎡)은 5동이던 것이 3동으로 줄었다. 이로써 동간 거리가 크게 넓어졌다.

다만 건축 용적률은 298%에서 299%로 소폭 상향됐고, 최고 층수도 46층에서 49층으로 높아졌다. 북쪽에서 시민공원으로의 조망을 확보하고, 구릉지를 살리기 위함이다. 현재 3구역은 현대산업개발이, 4구역은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사로 선정된 상태다.

앞으로 촉진3구역조합 측은 올해 경관·건축 심의를 통과한 뒤 내년까지 관리처분인가를 받겠다는 계획이다.

이후 곧바로 이주·철거에 들어가 2022년 착공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미 지난 5월 촉진2-1구역(1885세대)의 경우 경관심의를 통과해 앞으로 시민공원 주변 촉진지구 사업들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구역에는 모두 9034세대가 들어선다.

글·사진=김마선 기자 msk@



[출처: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63019094758288